개발한 웹페이지를 내 PC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과 ddns를 설정해보자
1. 포트포워딩
포트포워딩을 사용하면 다른 사람이 내 ip:포트 로 접속하였을 때 공유기에 물려있는 PC들 중 웹서버가 있는 PC로 자동 접속하게 된다.
1) 공유기 설정페이지 접속
우리 집은 KT이므로 KT공유기 설정 페이지인 http://172.30.1.254/로 접속하였다.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아이디 ktuser / 비밀번호 homehub 이다.
2) 서버가 있는 PC의 IP 확인
서버로 사용할 PC의 내부 IP를 확인한다.
3) 포트포워딩 설정
장치설정>트래픽관리>포트포워딩 설정에 들어가서 입력한 후 추가한다.
소스 IP주소, 소스 포트는 빈칸으로 두고
외부포트에는 접속할 포트(나는 8888~빈칸 으로 했다)
내부 IP주소는 아까 확인한 주소
내부 포트에는 내부 포트(나는 8888~빈칸 으로 했다)
프로토콜은 ALL로 지정한다.
4) 포트포워딩 확인
추가되었다면 서버를 실행시키고 외부에서 IP:포트번호 로 접속해보자. 내 IP를 확인하는 방법은 네이버에 내 IP라 검색하면 된다. (나의 경우 000.000.000.000:8888 로 접속한다)
2. ddns
포트포워딩만으로도 외부에서 내 서버로 접속할 수 있지만 숫자는 기억하기 어렵고 내 IP를 알려주는 것도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영어로된 주소로 바꿔보자
1) 무료 도메인 받기(no-ip)
no-ip라는 곳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30일간 무료로 쓸 수 있는 도메인을 만들 수 있다.
원래 duckdns에서 받으려고 했는데 kt에서는 duckdns에서 받은 도메인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Free Dynamic DNS - Managed DNS - Managed Email - Domain Registration - No-IP
A Note From Our CEO – COVID-19 and No-IP At No-IP, our hearts go out to everyone affected by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and we’re committed to doing everything we can to ensure the safety of our employees and our community. Learn more
www.noip.com
2) DDNS설정하기
공유기 설정페이지에서 장치설정 > 부가기능 > DDNS설정에 들어가서 값들을 입력한 후 적용한다.
DDNS사용은 활성으로 두고
DNS서버는 no-ip
사용자 ID는 no-ip에서 가입한 나의 ID
비밀번호는 no-ip에서 가입한 나의 비밀번호
URL은 no-ip에서 등록한 나의 URL을 입력한다.
3) ddns확인하기
서버를 실행시키고 외부에서 URL:포트번호 로 접속해보자(나는 aimacaron.ddns.net:8080 이었다.)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에 웹서버 만들기 - 1 (0) | 2020.09.20 |
---|